4.6 변수
4.6.1 R의 변수
변수(variable)는 필요에 따라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. 변수(함수와 개체도)에게 주어진 고유 이름을 식별자(identifies)라고 합니다.
4.6.2 R에서 식별자 작성 규칙
식별자는 문자, 숫자, 마침표 (
.) 그리고 밑줄 (_)의 조합으로 만들어 집니다.식별자는 반드시 문자 또는 마침표로 시작해야합니다. 마침표로 시작하면 뒤에 숫자가 올 수 없습니다.
R의 예약어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.
4.6.3 R의 유효한 식별자 예
total, Sum, .fine.with.dot, this_is_acceptable, Number5, var_name2., .var_name, var.name
변수명으로 한글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가능하면 영문으로 사용할 것을 권합니다.
4.6.4 R의 잘못된 식별자
tot@l:@기호는 식별자 내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.@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5um: 식별자는 숫자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._fine: 식별자는 밑줄(_)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.TRUE: TRUE는 예약어로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..0ne: 식별자가 점(.)으로 시작하면 숫자(0)이 올 수 없습니다.first-class:-는 산술 연산자입니다. 식별자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. 이는 “first-class”와 같은 산술식을 나타냅니다.
4.6.5 모범 사례
R의 이전 버전에서는 할당 연산자로 밑줄 (_)을 사용했습니다. 따라서 마침표 (.)는 여러 단어를 가진 변수 이름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.
현재 버전의 R은 밑줄(_)을 유효한 식별자로 지원하지만 마침표(.)를 단어 구분 기호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2
예를 들어, 식별자로는 a.variable.name을 사용하는 것이 a_variable_name보다 낫다는 것입니다. 또는 aVariableName와 같이 중간 중간에 대문자를 사용하는 낙타 대문자(camel case)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4.6.6 변수 할당과 출력
변수는 할당 연산자로 <-, -> 또는 = 등을 이용하여 값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단순히 변수명을 입력하거나, print() 함수와 cat() 함수를 이용하여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. cat() 함수는 여러 항목을 결합하여 출력합니다.
##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방법입니다.
# 왼쪽 방향의 연산자를 이용한 할당입니다.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.
var.2 <- c("learn","R")
# 등호 연산자를 이용한 할당입니다.
var.1 = c(0,1,2,3)
# 오른쪽 방향의 연산자를 이용한 할당입니다. 이 방법은 사용하지 말기를 권합니다.
c(TRUE,1) -> var.3
##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합니다.
var.1 # 변수명 만으로 변수에 저장된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## [1] 0 1 2 3
print(var.1) # var.1에 저장된 값을 출력합니다. ## [1] 0 1 2 3
cat ("var.1 is ", var.1 ,"\n") # 컴마로 구분된 3개의 요소를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출력하고 있습니다.## var.1 is 0 1 2 3
cat ("var.2 is ", var.2 ,"\n")## var.2 is learn R
cat ("var.3 is ", var.3 ,"\n")## var.3 is 1 1
R 마크다운에서
_을 사용하면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↩︎